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18

이어 붙인 수 첫번째 코드 하나하나 숫자를 확인한 후 홀수/짝수인지 확인확인한 후 해당 숫자를 문자열로 바꾸어 더하는 과정을 통해 숫자를 이어붙임모든 숫자를 이어붙인 후 문자열인 값을 숫자로 바꾸어 더하는 방법을 통해 정답을 구한다. def solution(num_list):     answer = 0     num1 = ''     num2 = ''          for i in num_list:         if i % 2 == 0:             num2 += str(i)         else:             num1 += str(i)          answer = int(num1) + int(num2)              return answer 통과!오랜만에 문제를 풀어서 걱정이 많았.. 2024. 8. 9.
075 LCA2 (미해결) 첫번째 코드 코드는 책을 보고 참고하는 중 이해가 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 아직 작성을 하지 않는다.이해 후에 코드를 다시 작성할 예정이다.링크 2024. 8. 8.
076 이항 계수 1 첫번째 코드 코딩 테스트 문제를 풀면서 맨날 dp, dp 이야기는 들었는데 드디어 나왔다.오히려 반가운 마음도 들었다. 처음 풀어보는 dp문제이므로 방법을 알기 위해 코드는 책을 참고했다.이해가 비교적 쉬웠으나 암기할 내용들이 있고, 응용될 방법이 정말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k = map(int, input().split()) dp = [[0 for _ in range(n+1)] for _ in range(n+1)] for i in range(0, n+1):     dp[i][1] = i     dp[i][0] = 1     dp[i][i] = 1 for i in range(2, n+1):     for j in range(1, .. 2024. 8. 8.
The Joy of Staying Put The Joy of Staying PutBY MAGGIE SMITHJULY 23, 2024 10:55 AM EDT생각보다 한 집에, 한 동네에 오래 사는 사람이 많지는 않다.나도 한곳에 오래 살지는 않았고, 다시 원래대로 돌아온 사람 중에 하나지만,한 동네에 꾸준히 사는 사람을 보면 부러운 점이 있다. 진짜 본가이고 고향인 느낌과 그 동네 친구가 있다는 것?하지만 현실과 타협하고 생각해야하는 부분이 여전히 강하게 있기는 하다.centennial 100주년plaque 전염병badge 표, 휘장understatement 절제, 절제된 표현 charmed by 매혹당하다chute 활송 장치, cedar 삼나무, 향나무 재목chingle 조약돌, 간판, 지붕널hallmark 특징era 시대 toddler 걸음마.. 2024. 8. 7.
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목차0. Abstract1. Introduction2. The Dataset3. The Architecture3.1 ReLU Nonlinearity3.2 Training on Multiple GPUs3.3 Local Response Normalization3.4 Overlapping Pooling3.5 Overall Architecture4. Reduce Overfitting4.1 Data Augmentation4.2 Dropout5. Details of learning6. Results6.1 Qualitative Evaluations7. Discussion0. Abstract  neural network - 60M parameter - 650,000 neurons - 5 convolutional lay.. 2024. 8. 7.
074 LCA (미해결) 첫번째 코드 최소 공통 조상 관련된 문제로 코드는 책을 참고했다.개념이나 그림으로 이해하면 이해는 편한데 사실 코드상에서 이해가 너무 어려웠다...사실 지금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ㅋㅋ; 그치만 개념은 이해가 되었기 때문에 차근차근 다음에도 풀어보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print = sys.stdout.write n = int(input()) tree = [[] for _ in range(n+1)] for _ in range(0, n-1):     s, e = map(int, input().split())     tree[s].append(e)     tree[.. 2024. 8.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