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첫번째 코드
사실 오일러의 피 개념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이해를 했는데
결과가 결국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해서 의문이었다.
이 책의 코드를 통해서 이해가 되었다.
특정 값의 소인수의 개수를 말해주는 것이었다.
이 코드에서 n과 result를 따로 움직인다.
그리고 마지막에 1개의 누락된 소인수를 챙겨주는 과정을 거친다.
개념에 대한 이해가 되어 코드 구성은 이해가 되지만
소소하게 챙길 부분이 좀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이번에 존재와 이해정도로 만족하고 다음에 다시 풀면서 온전한 이해와 코드 구성을 기대한다.
import sys
import math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result = n
for i in range(2, int(math.sqrt(n)+1)):
if n % i == 0:
result -= result/i
while n % i == 0:
n /= i
if n > 1:
result -= result / n
print(int(result))
통과:_
링크
programmers/백준/Gold/11689. GCD(n, k) = 1/GCD(n, k) = 1.py at main · ornni/programmers
repository for recording Programmers Algorithm problem solving - ornni/programmers
github.com
반응형
'코딩 테스트 > 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3 최대공약수 (0) | 2024.06.13 |
---|---|
044 칵테일 (0) | 2024.06.13 |
042 최소공배수 (0) | 2024.06.11 |
039 소수&팰린드롬 (2) | 2024.06.06 |
040 제곱 ㄴㄴ 수 (0)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