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첫번쨰 코드
뺴기를 기준으로 나누어 괄호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즉, 5 + 6 - 1 + 2 + 3 - 4 + 5라고 한다면 5 + 6 - (1 + 2 + 3) - (4 + 5)인 것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를 '-'기준으로 분리한다.
나눈 각 원소를 다시 '+'기준으로 분리하고 숫자로 만들어 더한다.
그리고 첫번쨰 원소는 그대로 두고, 다음부터 빼면서 더해간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A = list(map(str, input().split('-')))
answer = 0
def total_sums (x):
total = 0
sum_numbers = map(int, x.split('+'))
for i in sum_numbers:
total += i
return total
for i in range(len(A)):
if i == 0:
answer += total_sums(A[i])
else:
answer -= total_sums(A[i])
print(answer)
통과!
링크
programmers/백준/Silver/1541. 잃어버린 괄호 at main · ornni/programmers
repository for recording Programmers Algorithm problem solving - ornni/programmers
github.com
반응형
'코딩 테스트 > 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7 소수 구하기 (0) | 2024.06.04 |
---|---|
038 거의 소수 (0) | 2024.06.04 |
035 회의실 배정 (0) | 2024.05.30 |
034 수 묶기 (0) | 2024.05.28 |
033 카드 정렬하기 (0) | 2024.05.28 |